전체 글121 사막 바람과 물에 의해 침식된 황량한 사막 풍경에서 생태학자들은 생물만큼이나 지질학, 수리학, 기후 등의 진가를 알아가기 시작하고 있다. 사막에서는 가뭄과 아주 짧은 홍수, 더위와 엄청난 추위가 나란히 존재한다. 하지만 '가장자리의 생명'으로 반복되는 사막 생물에 대한 묘사는 외부인의 견해와 일치하지 않는다. 사막의 생물은 풍부하지도 현란하지도 않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생존 조건이 꼭 가혹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많은 종이 있어서, 사막은 가장자리가 아니라 그들 세계의 중심에 자리한다. 사막 생물들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매우 적은 양의 물, 높은 온도, 염분기가 있는 토양에서 번성한다. 사막의 생명체를 이해하기 위해서 생태학자들은 그들이 사는 자연 서식지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사막의 환경을 선인장 껍.. 2022. 8. 2. 열대 건조림과 열대 사바나 건기 동안 열대건조림은 온통 흙빛이며, 우기에는 온통 에메랄드색으로 보인다. 열대건조림의 생물은 연간 태양주기에 맞추어 반응하며 이는 우기와 건기 사이의 진동으로 나타난다. 건기 동안 대부분의 열대 건조기후에 있는 나무들은 휴면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나무는 꽃을 피우고 곤충들은 꽃의 화분을 옮기기 시작한다. 생물은 활기를 띠고 활동 속도는 증가한다. 마침내 우기의 첫 번째 폭풍이 도달하면 나무들이 잎사귀를 내어 풍경이 바뀌게 된다. 열대건조림은 위도 10도와 20도 사이에 존재하는 지구 표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아프리카에서 열대건조림은 중앙아프리카에 존재하는 열대우림의 북쪽과 남쪽 지방 모두에서 발견된다. 남아메리카에서 열대건조림은 아마존 열대우림의 남쪽과 북쪽의 광활한 지역.. 2022. 7. 31. 토양의 구조와 열대우림 토양의 구조는 기후, 생물, 지형 그리고 조암광물 간의 장기간에 걸친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된다. 토양은 대부분의 육상 생물이 의존하는 생물과 비생물 물질의 복잡한 혼합체이다. 토양의 구조는 땅속으로 1-3m 깊이의 구멍을 파봄으로써 관찰할 수 있다. 토양 구멍에서 가장 중요한 토양구조 중의 한 가지 요소를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수직 층상구조이다. 토양구조가 깊이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함에도 불구하고, 토양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토양을 몇 가지 별개의 수평층으로 나눈다. 토양 분석에 사용되는 분류체계는 토양을 O, A, B, C의 층으로 나눈다. O층 또는 유기물층은 층상구조의 맨 윗부분을 차지한다. O층의 맨 윗부분은 낙엽, 잔가지, 그 밖의 다른 식물체 부위 등 갓 떨어진 유기물로 구성된다. O층의 더 깊.. 2022. 7. 31. 지구의 기온과 강수 그리고 대기 태양이 지구의 표면을 불균등하게 가열하고 지축이 기울어져 있으므로 지구의 위도별 기후 변이를 예측할 수 있다. 기온과 강수량의 지리적 계절적 변화는 자연사와 육상 생태계의 근본적인 속성에 해당한다. 기후의 몇몇 속성은 지구상에서 예측할 수 있게 변한다. 지구에서 기후 변이의 대부분은 태양이 지구 표면을 불균등하게 가열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런 불균등 가열은 지구가 구형으로 만들어졌으며, 지축을 중심으로 태양을 돌 때 갖는 각도로 인해 야기된다. 지구는 구형이기 때문에 지구가 태양과 직접적으로 마주한 부분에 태양광선이 집중된다. 하지만 태양이 직접적으로 머리 위에 존재하는 위도는 계절에 따라 변한다. 이런 계절적 변화는 태양의 자전축이 태양을 도는 궤도면에 대해 수직이 아니라 대략 23.5도 정도 기울어.. 2022. 7. 29. 이전 1 ··· 27 28 29 30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