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내일을 보는 시간입니다.
쌀쌀하던 바람은 잦아들고 어느 덧 봄바람이 불어오는 3월 입니다.
오늘은 24절기 중 4번째 절기인 '춘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번째 절기, 춘분
우리나라에서는 1년을 24절기로 나눕니다.
이 절기는 예전에 농사가 아주 중요하던 시기에는
한해의 농사 계획을 세우는 데 이용했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시간적 개념이었습니다.
봄은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까지
여름은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까지
가을은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까지
겨울은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입춘까지로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입춘부터 시작해서 4번째 절기에 해당하는
'춘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춘분, 적도와 황도가 교차하는 시기
지구의 입장에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졌다는 것은
지구의 적도면과 태양의 황도가 교차하는 '춘분점'에 도달했다는 의미입니다.
지구에 태양이 가장 가까워지는 시기가 하지, 가장 멀어지는 시기가 동지라면
하지에서 동지 사이는 추분, 동지에서 하지 사이에는 춘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추분과 춘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는 것이고
하지로 갈수록 낮이 길어지고 동지로 갈수록 밤이 길어집니다.
춘분이란?
춘분이란?
낮과 밤의 길이 그리고 추위와 더위가 같아지는 시기라고 합니다.
즉, 이제는 진짜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매년 3월 20일 혹은 21일 즈음입니다.
이시기 즈음 부터는 정말 날씨도 따뜻해 지고
낮의 길이도 길어져서 본격적으로 봄이 시작되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변에 많은 봄 꽃들이 개화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춘분 무렵부터 한 해의 농사를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춘분과 농사와 관련있는 속담 중에
'춘분이 있는 달은 천사 사람들이 모두 농사를 시작하는 달'
'춘분 즈음에 하루 논밭을 갈지 않으면 일 년 내내 배가 고프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제 얼어 있던 땅을 갈고 씨앗을 뿌리기에 좋은 계절이 왔기 때문입니다.
춘분에는 봄보리를 갈았고, 담을 고쳐 짓고, 들에 있는 봄나물을 캐먹었습니다.
춘분의 세시풍속
춘분에는 한 해의 농사를 시작하는 시점이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풍습들이 많습니다.
1)사한제
고려시대부터 춘분즈음이 되면 겨울 내내 빙실에 저장되어 있던 얼음을 꺼내기 전에 '현명씨'라는 신에게 제사를 지낸 것이 바로 '사한제'입니다. 빙실의 얼음은 입춘에 저장하고 춘분에 꺼낸 것입니다. 이 사한제를 지낼때는 돼지 한마리와 복숭아 나무로 만든 활과 가시나무로 만든 화살을 빙실 문 안의 오른쪽에 마련해두고 제사가 끝나도 그대로 두었다고 합니다.
2)한 해 농사를 점치는 농점
우리 조상들은 춘분때의 날씨를 보고 한해의 농사를 점치기도 했습니다.
춘분에 비가 오면 그 해에 아픈 사람이 적지만, 맑고 구름이 없으면 만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역병이 돈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춘분에는 맑고 쾌청한 날씨보다는 구름이 많이 끼고 흐려서 해가 잘 보이지 않는 날씨를 더 선호했습니다.
아무래도 농사를 짓는데는 비가 내리는 것이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인식을 가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구름 색깔이 푸르면 병충해, 붉으면 가뭄, 검으면 수해, 누런색이면 풍년이 든다고 점쳤다고 합니다.
또한 동풍이 불면 보리가 풍년이고 서풍이 불면 보리가 귀해진다고 여겼다고 합니다.
남풍이 불면 오월전에 물이 많고 오월 뒤에는 가물어 지며 북풍이 불면 쌀이 귀하다고 생각했습니다.
3)머슴날
춘분부터 본격적으로 일년 농사를 시작하기 때문에 겨우내 쉬고 있었던 머슴들을 다 불러모아서
올 한해 농사도 잘 부탁한다는 의미에서 술과 음식을 푸짐하게 대접하는 잔치를 열었습니다.
춘분은 머슴들의 명절이나 다름없었습니다.
춘분에 먹는 음식
1)봄나물
춘분 무렵에는 산과 들에 봄나물이 많이 돋아나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달래와 냉이와 같은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봄나물을 섭취하면서 봄의 정취를 느꼈습니다.
2)머슴떡(나이떡)
춘분이 머슴절인 만큼 머슴과 관련된 음식도 있습니다. 머슴들에게 주기 위해 만든 떡으로, 송편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매해 먹었기 때문에 나이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3)볶은 콩
춘분이 되면 집집마다 콩을 볶아 먹었습니다.
'새알 볶아라, 쥐알 볶아라, 콩 볶아라' 라고 주문을 외우면서
콩을 볶았는데, 이는 곡식을 훔쳐 먹는
새나 쥐가 사라지는 마음을 담은 주문이었습니다.
춘분 인사말
봄에 들어서는 입춘,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경칩, 눈이 녹기 시작하는 우수를 지나
이제는 정말 본격적인 봄이 시작 되는 춘분이 왔습니다.
우리 조상들이 농사를 시작하듯이
오늘날 우리는 한 해의 다짐을 새롭게 다져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봄에 새롭게 돋아나는 풀과 아름답게 피어난 꽃과 함께
따뜻하고 싱그러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4 절기 청명
https://iridscent-pearl.tistory.com/108
24절기 - 청명 뜻,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식목일
안녕하세요. 내일을 보는 시간입니다. 산과 들에 꽃이 만개하는 4월입니다. 오늘은 24 절기 중 5번째 절기인 '청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5번째 절기, 청명 우리나라에서는 1년을 24 절기로 나눕
iridscent-pearl.tistory.com
'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 중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입하의 뜻, 풍습, 속담, 먹는 음식 그리고 인사말 (0) | 2023.05.05 |
---|---|
24절기 - 곡우에 대한 모든 것 (곡우 뜻, 풍습, 관련 속담, 음식) (0) | 2023.04.19 |
24절기 - 청명 뜻,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식목일 (0) | 2023.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