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태학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 & 온대 초원

by 무지개빛진주 2022. 8. 2.
728x90
반응형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 기후는 전형적인 그리스와 옛날 캘리포니아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해안가에 살던 곳의 기후이다. 이들의 문화가 발달한 온화한 기후에서 생물학적 풍부함 또한 높았다. 지중해성 목본림에서 식물상의 풍부함은 다음과 같이 시작되는 지중해 지역의 민요에서 찾아볼 수 있다. "봄은 이미 도착한다. 온 나라가 꽃피네, 색의 향연이여!" 이러한 시각적 향연에 지중해를 둘러싼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은 새의 노래와 로즈메리, 백리향, 월계수를 포함한 방향족 식물들의 향기를 더한다.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은 남극을 제외한 전 대륙에서 나타난다. 이들은 지중해 주변과 캘리포니아에서 멕시코 북쪽에 이르는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넓게 나타난다. 이들은 또한 칠레의 중부, 호주의 남쪽, 남아프리카에서도 나타난다. 현재 기후 상태 하에서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은 위도 30~40도 사이에 존재한다. 북반구의 아열대 사막의 북쪽에 그리고 남반구 아열대 사막의 남쪽에 이들의 대부분이 위치한다.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의 광범위한 지리적 분포로 인해 이 생물군계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북아메리카의 서부에서는 채퍼럴이라고 하며 스페인에서는 마토럴이라 한다. 지중해 연안의 훨씬 동쪽에서는 개리그라고 한다. 반면, 남반구에서 남아프리카 사람들은 이 생물군계를 핀보스라고, 호주 사람들은 최소한 그것의 한 형태를 말리라고 한다. 이 생물권의 이름은 매우 다양하지만 기후는 그렇지 않다.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의 가을, 겨울, 봄은 서늘하고 습하다. 대부분 지역의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의 여름은 덥고 건조하다. 서리의 위험은 한 유형의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으로부터 다른 유형으로 상당히 바꿔놓는다. 그러나 서리가 발생하더라도 그 피해가 심각하지는 않다. 건조한 여름과 빽빽이 들어선 식물, 풍부하게 존재하는 방향성 기름으로 인해 빈번하고 강한 불을 내기에 이상적인 환경이 된다.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의 토양은 일반적으로 척박하기로 유명하다. 남아프리카 핀보스와 같은 일부 지역의 토양은 특히 척박하다. 토양이 침식된 후 심각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가축을 너무 많이 방목하는 것과 함께 불은 몇몇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으로부터 토양을 쓸어내렸다. 신중히 관리되는 다른 지역에서의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은 몇천 년 동안 그들의 완전함을 유지하고 있다.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에는 매우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살고, 사막에 사는 생물처럼 가뭄에 대한 여러 가지 적응 현상을 보인다. 큰 나무와 관목은 전형적으로 내내 푸르며 영양분과 수분을 보충할 수 있는 작고 거친 잎을 가진다.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의 많은 식물은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는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발달시켰다. 분해 과정은 건조한 여름에는 매우 더디게 일어나다가 가을과 겨울철 비가 내리면 다시 시작된다. 흥미롭게도 이 간헐적인 분해는 이 분해 과정을 충분히 촉진해, 분해의 평균 속도는 온대림에서의 분해 속도와 유사하다.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에서 발생하는 산불로 인해 불에 저항성을 가진 식물들만이 이곳에서 살 수 있게 되었다. 많은 지중해성 산림의 나무들은 화재에 저항할 수 있도록 두껍고 거친 껍질을 가지고 있다. 대조적으로 지중해 산림의 많은 관목은 기름이 많이 들어 있어 쉽게 타나 빠르게 다시 싹이 난다. 대부분의 초본식물은 서늘하고 습한 계절에서 자라며 여름에 죽어 가뭄과 불을 모두 피할 수 있다. 인간의 활동은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의 경관 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스페인 남부와 포르투갈의 참나무 숲은 몇천 년 된 농업관리체계의 산물이다. 이 체제에서 가축은 풀을 뜯고 돼지들은 참나무에서 열린 도토리를 먹으며,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코르크 생산은 코르크 참나무에서 수확한다. 선택된 지역에서는 5~6년에 한 번씩 밀을 경작하고 다른 기간에는 경작하지 않고 그대로 놓아둔다. 낮은 집중도와 지속성을 강조하는 이러한 농업체계는 다른 지역의 지속 가능한 농업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인간의 거주의 오랜 역사와 함께 높은 인구밀도는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에 지워지지 않는 흔적을 남겼다. 초기 인간은 농사를 위해 숲을 없애고, 나무 종류를 조절하기 위해 불을 놓고, 잔디를 자라게 하며, 나뭇가지를 연료로 쓰기 위해 모으고, 가축들이 풀을 뜯게 하는 활동 등의 영향을 미쳤다. 오늘날 세계의 지중해성 목본림과 관목림은 인간의 거주지로 바뀌었다.  

 

<온대초원>

원래 온대초원은 넓은 영역에 연속적으로 분포해 있었다. 파란 하늘 아래 펼쳐진 대초원 한가운데 서 있는 것은 탁 트인 대양 한 가운데에 한 척의 보트를 타는 느낌이다. 따라서 유럽과 북아메리카 동쪽의 숲에서 온 초기의 방문자들이 아메리카 중부의 대초원을 '잔디의 바다'라고 부른 것과 그것을 가로지르는 마차를 '초원의 범선'이라고 부른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대초원은 들소와 영양의 서식지이며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유목문화의 산실이다. 북아메리카의 가장 큰 생물군계인 온대초원은 유라시아에 훨씬 더 넓게 분포한다. 북아메리카 대초원지대의 초지는 캐나다 남부로부터 멕시코만까지, 로키산맥부터 동부의 낙엽수림까지 펼쳐져 있다. 나머지 초원은 아이다 호와 워싱턴의 팔로스 초지와 캘리포니아의 센트럴밸리와 주변 산기슭에 나타난다. 유라시아에서 온대 초원 생물군계는 동유럽에서 중국의 동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존재한다. 남반구에서 온대초원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브라질 남부와 뉴질랜드에서 발견된다. 온대초원의 연간 강수량은 300~1000 mm이다. 온대초원은 사막보다는 덜 건조하지만 가뭄이 나타나면 이것은 수년 동안 이어진다. 최대 강수량은 성장기인 여름 동안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온대초원의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덥다. 온대초원의 토양은 매우 다양한 모재로부터 유래한다. 가장 좋은 온대초원의 토양은 깊고, 염기성이거나 중성이고, 비옥하고 많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다.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의 검은색 초원 토양은 유기물을 많이 포함하여 비옥하기로 유명하다. 더 메마른 초원의 갈색 토양은 보다 적은 유기물을 포함한다. 온대초원은 초본식물로 완전히 뒤덮여 있다. 건조하고 온도가 높은 여름에 화재가 빈번히 발생한다. 열대 사바나처럼 불은 나무와 관목이 강과 하천의 가장자리에 제한되어 있도록 온대초원의 나무들을 제거해준다. 단자엽 초본을 비롯하여 그곳에는 많은 다른 초본식물들이 있다. 봄은 온대초원을 화려한 아네모네, 미나리아재비, 아이리스 그리고 다른 꽃들로 꾸민다. 특히 많은 종이 자라는 북아메리카 초원에서는 70여 종까지 동시에 꽃이 피기도 한다. 건조하고 짧은 초원의 식물은 5cm 높이 정도까지 자라나 습하고 키 큰 초원의 식물은 200 cm 정도까지 자란다. 단자엽 초본과 광엽 초본의 뿌리 시스템은 밀집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나무가 들어오기 어렵게 하며 쟁기질하기도 어렵게 한다. 온대초원은 북아메리카의 들소와 영양 그리고 유라시아의 야생마와 사이가산양과 같이 이동하는 초식동물 떼에 의해 유지된다. 대양에서처럼 초원의 초식동물들은 그들을 따라다니는 포식자인 대초원의 늑대들처럼 사회적 집단을 이룬다. 초본식물 속에 숨어 있어 보이지 않는 메뚜기나 쥐와 같은 작은 동물들은 대형 초식동물들보다 훨씬 많다. 온대초원에 처음 정착한 사람은 유랑하는 사냥꾼들이었다. 그다음에는 유랑하는 방목자들이 정착했다. 나중에는 몇천 년 동안 농부들이 초본을 뒤엎고 토양을 비옥하게 하였다. 쟁기질을 통해 온대초원은 지구에서 가장 비옥한 농장이 되었고 세계를 먹여 살렸다. 하지만 생산물의 대부분은 합성비료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으며 우리는 초원 흙의 비옥함을 '채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초원의 토양은 경작 35~40년까지 그들이 간직하였단 유기물의 35~40%를 잃었다. 게다가 가뭄이 잦고 더 산성인 초지에서는 지속할 수 있는 농업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28x90
반응형

'생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 위에 떠 있는 섬 산과 툰드라  (0) 2022.08.04
북방림의 식생과 생육환경  (0) 2022.08.03
사막  (0) 2022.08.02
열대 건조림과 열대 사바나  (0) 2022.07.31
토양의 구조와 열대우림  (0) 2022.07.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