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십신 나와 같은 오행 비겁 (비견과 겁재) 뜻과 해석

by 무지개빛진주 2023. 7. 1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셀프 사주 풀이를 통해 내일을 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십신 중 비견과 겁재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십신에서 본원과 오행이 같은 경우를 비겁이라고 하는데요,
음양이 같으면 비견, 음양이 다르면 겁재로 칭합니다.
10천간의 비견과 겁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비견과 겁재의 특징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와 같은 오행, 비겁

 

사주의 십신 중 비겁은 오행이 나와 같은 경우를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내가 갑목 이라면 사주 내에서 천간에는 갑목이나 을목이, 지지에는 인목이 있는 경우에 비겁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비겁은 다시 비견과 겁재로 나뉠 수 있는데, 비견은 나와 오행도 같고 음양도 같은 경우 입니다.나와 완전히 똑같은 힘이기 때문에 '어깨를 나란히 한다'라는 한자어를 써서 '비견'이라고 이름지어 졌습니다.
 
겁재는 나와 오행은 같지만 음양이 다른 경우입니다.겁재의 한자 뜻은 '재물을 겁탈하다'라는 의미인데,'나'라는 오행이 극하는 오행은 '재성'에 해당하며비견 보다는 겁재가 그 영향력이 더 크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지어 졌습니다.

 

10 천간 별 비견과 겁재

 

모든 십신들이 그러하듯이 내가 어떤 오행이냐에 따라서 비견과 겁재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내가 무토 일간인 경우에는 비견은 무토, 진토, 술토이며
겁재는 기토, 축토, 미토 입니다.
 
위의 표는 각 10천간에 해당하는 비견과 겁재를 나타낸 표입니다.

 

 

비겁, 나와 같은 오행

비견과 겁재를 통틀어 부르는 '비겁'은 사주 내에서 나와 같은 오행이 있을 때 성립됩니다.
나와 오행이 같기 때문에 나와 같은 힘이며 또 다른 나의 분신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주에 비겁이 많다는 의미는 항상 주변에 나와 비슷한 사람들이 붐비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비겁이 있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어떤 일을 도모하던 간에 혼자하기 보다는
함께 하는 것을 생각합니다.
 
또한 비겁이 있으면 나 자신이 강해지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비겁 자체가 '나'를 의미하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애정과 관심도가 높습니다.
특히 일지에 비겁이 있는 경우에는 그런 특징이 더욱 두드러 집니다.
(일지 비겁 일주들 : 갑인 일주, 을묘 일주, 정사 일주, 병오 일주, 무진 일주, 무술 일주, 기축 일주, 기미 일주, 경신 일주, 신유 일주, 임자 일주, 계해 일주)
 
비겁이 존재한다는 것은 나를 대체할 수 있는 또다른 내가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타고난 체력이 좋은 사람입니다. 그래서 몸을 쓰는 직업도 잘 맞고타고난 건강체질이신 분들이 많습니다.
 

 

비견, 나와 같은 힘

비겁 중 나와 오행도 같고 음양도 같은 것은 비견입니다.
비견은 말 그대로 나와 완전 같은 힘이기 때문에 형제, 자매, 동료, 친구 등을 의미합니다.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을 좋아할 뿐더러 자기 것을 잘 나누기도 합니다.
이러한 면들이 비견 특유의 낙천적인 성격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비견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합니다.
 
또한 비견이 있으면 자존감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래서 웬만한 일에는 크게 상처받지 않고 '아님 말고~'라는 생각을 가지기 때문에
타인의 시선이나 평가에 둔감한 편입니다.
 
또한 비겁 자체가 극하는 오행이 '재성(재물)'이기 때문에
비견이 발달한 사람들은 소비성향이 강합니다.
그래서 돈을 모으기 보다는 소비하는 쪽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편입니다.
또한 비견이 있다는 것은 내가 가진 재물을 나눠야 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항상 자금난에 허덕이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겁재, 또 다른 나의 힘

겁재는 나와 오행은 같지만 음양이 다른 힘입니다.
나와 같은 것 같지만 어딘가 모르게 다른 힘, 그것이 겁재 입니다.
그래서 겁재는 동료나 친구이기도 하지만 '경쟁자'를 의미합니다.
 
사주내에서 겁재가 많은 사람은 항상 내 주변에 나를 경쟁상대로 여기거나
시기질투하는 사람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주팔자 내에 겁재가 존재한다면, 원하든 원치 않든 경쟁상황에 놓이는 일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겁재는 지지 않으려는 '승부의 화신'이기 때문에 악착같이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비견은 낙천적인 성격으로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데 반해,
겁재는 자신의 감정을 숨기는 편입니다.
특히 자존심에 상처가 나는 일이 생겼을때, 겁재는 더더욱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상대가 약해질때까지 기다리며 복수의 칼날을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겁재가 비견과 다른 점은 바로 '철저한 자기 반성'입니다.

비견은 그저 긍정성을 내세우며 자기합리화 하는 성향이 강한데 반해겁재는 자신의 과거를 되짚어 보며 철저한 자기 반성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도모합니다.그래서 겁재가 잘 발달된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금전적인 측면에서 보면, 겁재는 비견보다 재물을 분배하는 것이 더 극단적입니다.비견은 모든 것을 1/n로 나누는 반면, 겁재는 '모 아니면 도'의 방식으로 모두 갖거나 모두 잃게 됩니다. 
 

비겁이 사주 내에서 많거나 적은 경우

사주내에서 비겁이 긍정적으로 발현된 경우에는
자존감이 높고 긍정적이며 주변인과의 관계성도 좋습니다.
하지만 너무 과다하거나 부족한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먼저, 사주 내에서 비겁이 과다한 경우에는 너무 자기 자신에만 몰두하며
주변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습니다. 그래서 자만심과 오만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금전적인 지출이 많아져서 돈이 모일새도 없이 다 흩어져 버립니다.
사주 내에서 비겁이 좋지 않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항상 주변인들로 인해 
곤란을 겪거나 힘든 상황이 잦아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사주에서 비겁이 부족하거나 없는 경우에는
지나치게 의기소침해질 수 있고, 자존감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피력하지 못하고 항상 남들에게 끌려다니며 수동적으로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상황이 반복되다 보면 자기 자신을 탓하게 되고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내 주변의 동료나 친구가 없는 것을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무슨 일이던 간에 혼자서 모든 것을 처리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주의 십신 중 나와 같은 오행인 비견과 겁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내가 생하는 오행인 식신과 상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주 십신의 개괄 알아보기]

https://iridscent-pearl.tistory.com/143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십신(십성, 육친, 육신)의 개념과 오행과의 관계

안녕하세요. 셀프 사주 풀이를 통해 내일을 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사주에서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 '십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십신은 '육친'이라는 용어로도 불립니다. 나를 둘러싼

iridscent-pearl.tistory.com

 

[사주 십신 중 식상에 대해 더 알아보기]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