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셀프 사주 풀이를 통해 내일을 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사주에서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 '십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십신은 '육친'이라는 용어로도 불립니다.
나를 둘러싼 인생의 요소들을 의미하며, 모두 태어난 날의 천간인 '본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관계입니다.
십신을 통해 사주는 조금 더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십신의 구체적인 의미와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십신은 사회 속의 '나'를 의미한다.
십신이라는 말은 사주팔자에서 나를 제외한 나머지 7글자가 가진 의미에 대한 해석으로, 다른 말로 십성, 육친, 육신으로도 불립니다. 어떤 용어를 사용하던 간에 나를 중심으로 하는 본원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지를 살펴볼 수 있는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인간은 자연적인 욕구뿐만 아니라 사회적 욕구도 함께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사회에서 내가 어떤 모습이며 어떤 삶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지를 알 수 있습니다.
십신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앞서 재차 말씀드렸듯이, 십신은 본인이 태어난 일주의 천간을 기준으로 구성됩니다. 일주의 천간 자리를 본원 혹은 명주라고 부르며 자신을 뜻하는 기본 속성을 의미하는 글자입니다. 모든 사람은 10천간 중에 하나에 속하며, 본인이 해당하는 본원을 제외한 나머지 일곱자리에 어떤 글자가 오느냐에 따라서 십신이 달라집니다.
어떤 사주는 십신이 골고루 분포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사주는 특정 십신이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차후에 설명드리겠지만, 십신은 나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나의 내적 욕망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람이 추구하는 가치와 주변인들과의 관계까지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십신의 기본은 오행
십신이라고 하는 개념은 갑자기 새로 등장한 것이 아니라, 앞서 소개해 드렸던 '오행'에서 비롯됩니다. 본인이 10천간 중에 하나에 속한다면 오행 중 하나에 속할 것이며 나를 둘러싼 관계들이 오행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생성됩니다.
내가 갑목으로 태어난 경우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일단 목 오행은 나와 같은 요소입니다.갑목에게 수는 나를 생하는 오행이며 화는 내가 생하는 오행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는 나를 도와주는 요소이고, 화는 내가 돕는 요소를 의미합니다.하지만 금은 나를 극하는 오행이고 토는 내가 극하는 오행입니다. 그래서 금은 나를 통제하는 요소이며 토는 내가 관리하고 통제하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이처럼 나의 오행을 기준으로 오행의 상생과 상극에 대한 개념이 더해지면 십신이 만들어집니다.
십신의 종류
위에서 말씀 드린 것 처럼 생하거나 극하는 것으로 오행은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 관점을 기준으로 크게는 5개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먼저 나와 같은 오행은 비겁, 나를 생하는 오행은 인성, 내가 생하는 오행은 식상, 나를 극하는 오행은 관성, 내가 극하는 오행은 재성입니다.
십신은 본인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어떤 오행이냐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내가 목 오행으로 태어난 경우에는 인성이 수 오행이지만, 내가 토 오행으로 태어났다면 인성은 화 오행이 됩니다.
크게 다섯가지로 나눈 십신은 더 자세하게 음양의 개념까지 더하면 10가지로 나뉩니다. 먼저 나와 같은 오행인 비겁은 비견과 겁재의 줄임말로 나와 오행도 같고 음양도 같은 속성은 비겁, 나와 오행은 같지만 음양은 다른 속성은 겁재로 명합니다. 나를 생하는 요소인 인성은 정인과 편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와 음양이 같으면 편인, 음양이 다르면 정인이 됩니다.
내가 생하는 속성인 식상은 식신과 상관의 줄임말이며, 나와 음양이 같은 경우에는 식신 나와 음양이 다르면 상관이 됩니다. 나를 극하는 속성인 관성은 정관과 편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나와 음양이 같으면 편관 다르면 정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내가 극하는 속성은 재성으로 정재와 편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와 음양이 같으면 편재 다르면 정재로 명명됩니다.
십신의 구성요소
십신은 천간 뿐만 아니라 지지까지 포함하여 결정됩니다. 각 글자의 오행과 음양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나와 어떤 관계를 맺게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나를 제외한 7개의 글자 중 천간은 3개 지지는 4개가 십신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지지의 영향이 조금 더 크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 또한 지지 내에 있는 지장간 역시 십신의 개념을 대입시켜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10천간에 따라서 결정되는 십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갑목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갑목(甲木), 인목(寅木) | 겁재 | 을목(乙木), 묘목(卯木) |
편인 | 임수(壬水), 해수(亥水) | 정인 | 계수(癸水), 자수(子水) |
식신 | 병화(丙火), 사화(巳火) | 상관 | 정화(丁火), 오화(午火) |
편관 | 경금(庚金), 신금(申金) | 정관 | 신금(辛金), 유금(酉金) |
편재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정재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을목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을목(乙木), 묘목(卯木) | 겁재 | 갑목(甲木), 인목(寅木) |
편인 | 계수(癸水), 자수(子水) | 정인 | 임수(壬水), 해수(亥水) |
식신 | 정화(丁火), 오화(午火) | 상관 | 병화(丙火), 사화(巳火) |
편관 | 신금(辛金), 유금(酉金) | 정관 | 경금(庚金), 신금(申金) |
편재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정재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병화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병화(丙火), 사화(巳火) | 겁재 | 정화(丁火), 오화(午火) |
편인 | 갑목(甲木), 인목(寅木) | 정인 | 을목(乙木), 묘목(卯木) |
식신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상관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편관 | 임수(壬水), 해수(亥水) | 정관 | 계수(癸水), 자수(子水) |
편재 | 경금(庚金), 신금(申金) | 정재 | 신금(辛金), 유금(酉金) |
정화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정화(丁火), 오화(午火) | 겁재 | 병화(丙火), 사화(巳火) |
편인 | 을목(乙木), 묘목(卯木) | 정인 | 갑목(甲木), 인목(寅木) |
식신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상관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편관 | 계수(癸水), 자수(子水) | 정관 | 임수(壬水), 해수(亥水) |
편재 | 신금(辛金), 유금(酉金) | 정재 | 경금(庚金), 신금(申金) |
무토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겁재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편인 | 병화(丙火), 사화(巳火) | 정인 | 정화(丁火), 오화(午火) |
식신 | 경금(庚金), 신금(申金) | 상관 | 신금(辛金), 유금(酉金) |
편관 | 갑목(甲木), 인목(寅木) | 정관 | 을목(乙木), 묘목(卯木) |
편재 | 임수(壬水), 해수(亥水) | 정재 | 계수(癸水), 자수(子水) |
기토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겁재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편인 | 정화(丁火), 오화(午火) | 정인 | 병화(丙火), 사화(巳火) |
식신 | 신금(辛金), 유금(酉金) | 상관 | 경금(庚金), 신금(申金) |
편관 | 을목(乙木), 묘목(卯木) | 정관 | 갑목(甲木), 인목(寅木) |
편재 | 계수(癸水), 자수(子水) | 정재 | 임수(壬水), 해수(亥水) |
경금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경금(庚金), 신금(申金) | 겁재 | 신금(辛金), 유금(酉金) |
편인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정인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식신 | 임수(壬水), 해수(亥水) | 상관 | 계수(癸水), 자수(子水) |
편관 | 병화(丙火), 사화(巳火) | 정관 | 정화(丁火), 오화(午火) |
편재 | 갑목(甲木), 인목(寅木) | 정재 | 을목(乙木), 묘목(卯木) |
신금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신금(辛金), 유금(酉金) | 겁재 | 경금(庚金), 신금(申金) |
편인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정인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식신 | 계수(癸水), 자수(子水) | 상관 | 임수(壬水), 해수(亥水) |
편관 | 정화(丁火), 오화(午火) | 정관 | 병화(丙火), 사화(巳火) |
편재 | 을목(乙木), 묘목(卯木) | 정재 | 갑목(甲木), 인목(寅木) |
임수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임수(壬水), 해수(亥水) | 겁재 | 계수(癸水), 자수(子水) |
편인 | 경금(庚金), 신금(申金) | 정인 | 신금(辛金), 유금(酉金) |
식신 | 갑목(甲木), 인목(寅木) | 상관 | 을목(乙木), 묘목(卯木) |
편관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정관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편재 | 병화(丙火), 사화(巳火) | 정재 | 정화(丁火), 오화(午火) |
계수의 십신
십신 | 오행 | 십신 | 오행 |
비견 | 계수(癸水), 자수(子水) | 겁재 | 임수(壬水), 해수(亥水) |
편인 | 신금(辛金), 유금(酉金) | 정인 | 경금(庚金), 신금(申金) |
식신 | 을목(乙木), 묘목(卯木) | 상관 | 갑목(甲木), 인목(寅木) |
편관 |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 | 정관 |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
편재 | 정화(丁火), 오화(午火) | 정재 | 병화(丙火), 사화(巳火) |
오늘은 십신은 어떤 개념이며 사주 내에서 어떻게 해석되는지에 대한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기존에 오행으로만 해석 되던 사주풀이에 십신의 개념이 더해지면 조금 더 다채로운 해석이 가능할뿐더러 사회 속에서 내가 살아가는 모습과 나의 내면에 내제된 욕망까지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각 십신의 내용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십신 내가 생하는 오행 식상 (식신과 상관) 뜻과 해석 (0) | 2023.07.28 |
---|---|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십신 나와 같은 오행 비겁 (비견과 겁재) 뜻과 해석 (0) | 2023.07.18 |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지지 오행 해수 (해월생, 해시 시간) (0) | 2023.06.26 |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지지 오행 술토 (술월생, 술시 시간) (0) | 2023.06.19 |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지지 오행 유금 (유월생, 유시 시간) (0) | 2023.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