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셀프 사주 풀이를 통해 내일을 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지지 오행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지지오행은 총 12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이 중 첫번째 오행인 '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음의 물, 자(子) + 수(水)

지지의 첫번째 오행인 '자'는 오행 중 '수'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자수'라고 통칭합니다.
지장간은 임수와 계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가 임수이고 정기가 계수 입니다.
자수는 '왕지'에 속하기 때문에
중간에 중기는 없습니다.
임수의 기운이 10정도 이고 계수의 기운이 20이기 때문에
'음의 수'로써 해석됩니다.
'자'수는 지장간도 모두 수 오행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의 기운이 제일 강한 지지 오행입니다.
자월생, 자시

자월에 태어난 자월생은 12월 7,8일~1월 5,6일에 태어난 경우 입니다.
이 시기는 절기상으로는 대한, 동지, 소한으로
일년 중 가장 춥고 눈이 내리는 겨울입니다.그래서 자월생들은 '따뜻함'을 가진 요소가 사주에 있으면 좋습니다.
자시는 23:30~01:30 사이의 시간을 의미하며'자정'이라는 시간이 포함됩니다.이 시간은 말 그대로 아주 깊은 한밤중 입니다.
자신이 어떤 계절에 태어났고, 어떤 일주로 태어났느냐에 따라자시에 태어난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고,오히려 좋지 않게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자수, 조용하지만 주목받고 싶은 내적 관종

자수는 12간지 중 '쥐'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야기 속 12간지는 동물들의 경주를 통해
순서가 정해지는데, 쥐가 소의 머리 위에 있다가
도착하기 직전에 뛰어내려 '1등'으로 들어와서
시작이 '자'가 되었다는 건 다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처럼 '자수'는 총명하고 꾀가 많습니다.
수의 본질이 '지혜'인 만큼
임수의 명석함과 계수의 지혜로움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총명함'을 드러내지는 않습니다.
지지의 음의 영역 중 가장 깊은 것이 '자수'이기 때문에
드러내기 보다는 숨기고 감추는 것이 더 능합니다.

자수는 또한 '임수'의 인기와 '계수'의 우울감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수 오행 답게 감수성도 아주 풍부합니다.
그 감수성을 통해 여러가지 예술분야에서 재능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감수성이 너무 과해지다보면
예민함과 우울감이 심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자수는 임수의 특성과 왕지의 특징인 '도화'성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편입니다.
하지만 드러내 놓고 활동하거나
사람들 앞에 서는 것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내적관종'기질이 강합니다.
한마디로 '조용한 인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든 음의 기운이 '자'에서 마무리 되기 때문에
이제 '양'으로의 시작하기 직전입니다.
자시가 가장 깊은 밤이고 이 시간이 지나면 점차 해가 떠오르는 것 처럼
자수는 겉으로는 음의 모양을 하고 있지만
사실 깊은 곳에는 양으로 움트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수를 지지에 가지고 있는 분들은 '술'을 좋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수가 수 오행을 대표하기도 하고, 술을 많이 마시는 한밤중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한밤중의 술은 평소 자신의 내면을 잘 표현하지 않는 자수에게
자신의 내면을 드러나게 해주는 하나의 기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는 생명의 근원지인 만큼 성적인 부분과 많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한밤중에 술을 마시고는 행동을 조심해야 합니다.
오늘은 지지 오행 중 '자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이는 '축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지지 오행 인목 (인월생, 인시 시간) (0) | 2023.04.07 |
---|---|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지지 오행 축토 (축월생, 축시 시간) (0) | 2023.03.30 |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사주 지장간(천간과 지지) 표 및 내용과 활용법 (0) | 2023.03.13 |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12 지지(간지)특징 (24 절기, 시간, 동물 해석) (0) | 2023.03.08 |
셀프 사주 팔자 풀이 - 천간 오행 계묘년 임수 계수 사주 (0) | 2023.02.28 |
댓글